ICT 인턴십 2주차
2023. 9. 26. 15:43ㆍICT 인턴쉽 기록
어떤 업무를 진행했나요?
회사 서비스에 대시보드를 만들기위해 사용가능한 API를 조사하고, 어떤식으로 불러와서 사용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.
주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가져올 수 있는 데이터가 많았다.
현재 사용중인 서비스 대시보드는 php로 구성되어있고, 실제로는 데이터가 돌지 않고있는 부분이 많기때문에, 또 수치들을 확인하기위해 구글 애널리틱스, 페이스북 애널리틱스 등 여러 대시보드를 각각 들어가서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에 해당 데이터를 API로 받아서 우리 대시보드에 보여주는 작업을 할 예정이다.
대시보드에는 어떤 데이터들을 보여줘야 해?
a.회원 가입 및 진입 경로 추적 관련 부분
- 유입 채널: 웹사이트로 유입된 트래픽의 소스(예: 직접, 소셜 미디어, 검색 엔진)를 보여줍니다.
- 검색어: 검색 엔진에서 웹사이트로 유입된 검색어를 나열합니다.
- 소셜 미디어: 웹사이트로 유입된 소셜 미디어 트래픽의 세부 정보를 표시합니다.
- 회원별 로그인 비율 : 자체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집계해야 합니다.
b.활동 수집 및 데이터 추적 부분
- 페이지 뷰 수: 웹사이트의 총 페이지 뷰 수를 나타냅니다.
- 사용자 수: 웹사이트를 방문한 고유 사용자 수를 나타냅니다.
- 세션 수: 방문자가 웹사이트에서 수행한 세션 수를 나타냅니다.
- 페이지/세션: 페이지 뷰 수를 세션 수로 나눈 것으로, 평균 페이지 조회 횟수를 보여줍니다.
c.마케팅적 활용 부분
- 유입 채널 최적화:
* Google Analytics를 통해 어떤 채널(Direct,organic search, organic social 등)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이 유입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 가장 효율적인 유입 채널을 식별하고 마케팅 예산을 해당 채널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
- 키워드 최적화:
* 검색어 보고서를 통해 웹사이트로 유입된 검색어를 확인하고 어떤 키워드가 가장 많은 트래픽을 가져오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
* 어떤 페이지 또는 경로가 목표 달성에 가장 효과적인지 파악하고 해당 페이지를 최적화하여 전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. - 사용자 행동 분석:
* 사용자 동작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.
* 이 정보를 기반으로 웹사이트 디자인, 내비게이션 및 콘텐츠를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.
- 이탈률 감소:
* Google Analytics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탈률을 추적하고 어떤 페이지에서 이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 이탈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당 페이지를 개선하고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- 콘텐츠 전략 개발:
* 페이지 조회 및 이탈률 데이터를 통해 어떤 콘텐츠가 가장 많이 조회되는지와 어떤 콘텐츠가 이탈을 유발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 인기 있는 콘텐츠를 확장하거나 이탈률이 높은 콘텐츠를 개선하여 콘텐츠 전략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
* 고 캠페인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 - 캠페인 효율성 평가:
* 광고 캠페인 추적을 통해 각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.
* 어떤 캠페인이 가장 많은 전환을 가져오는지 파악하고 예산을 재조정할 수 있습니다.
Google report API 요청 예시
내 웹서비스의 방문자 통계 요청 예시
const config = {
method: 'post',
url: 'https://analyticsreporting.googleapis.com/v4/reports:batchGet',
headers: {
'Authorization': 'Bearer YOUR_ACCESS_TOKEN', // 여기에 액세스 토큰을 넣어야 합니다.
'Content-Type': 'application/json',
},
data: {
reportRequests: [
{
viewId: 'YOUR_VIEW_ID', // Google Analytics 뷰 ID
dateRanges: [
{
startDate: '2023-01-01',
endDate: '2023-12-31',
},
],
metrics: [
{
expression: 'ga:users',
},
],
},
],
},
};
위의 요청 형식은 2023년도 서비스 방문자 수 "ga:users" 의 값을 요청하고 있다.
헤더에 토큰을 넣어주고, viewId,startDate,endDate,expression 등 값을 기입해줘야 한다.
"ga:users" 말고도 여러가지 지표들이 있다.
- ga:sessions: 세션 수.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그룹화한 것으로, 사용자가 활동을 시작하고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합니다.
- ga:pageviews: 페이지 뷰 수. 웹사이트의 페이지가 조회된 횟수를 나타냅니다.
- ga:pageviewsPerSession: 세션 당 페이지 뷰 수. 평균적으로 한 세션 동안 조회되는 페이지 수를 나타냅니다.
- ga:avgSessionDuration: 평균 세션 지속 시간.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평균적으로 활동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.
- ga:bounceRate: 이탈률.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단일 페이지만 조회하고 이탈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.
- ga:goalCompletionsAll: 목표 달성 수. 설정한 목표를 달성한 사용자 수를 나타냅니다.
- ga:revenue: 수익. 웹사이트나 앱에서 발생한 총 수익을 나타냅니다.
- ga:transactions: 거래 수. 구매 또는 특정 거래 유형의 수를 나타냅니다.
- ga:source: 트래픽 소스. 웹사이트로 유입된 트래픽의 소스(예: 검색 엔진, 소셜 미디어)를 나타냅니다.
- ga:medium: 트래픽 매체. 트래픽의 매체(예: organic, referral, cpc)를 나타냅니다.
내 웹서비스의 방문자 통계 응답 예시
{
"reports": [
{
"columnHeader": {
"metricHeader": {
"metricHeaderEntries": [
{
"name": "ga:users",
"type": "INTEGER"
}
]
}
},
"data": {
"rows": [
{
"metrics": [
{
"values": ["12345"]
}
]
}
]
}
}
]
}
2023년도 총 서비스 방문자 수는 values에 값으로 들어온 12345이다.
이런식으로 Google report API를 통해 원하는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내 대시보드로 가져올 수 있다.
'ICT 인턴쉽 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스 UX 법칙 분석해보기 (1) | 2023.11.02 |
---|---|
ICT 인턴십 1주차 (0) | 2023.09.13 |